분류 전체보기 (29)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전제품 플러그에서 불이 나는 이유와 예방 1. 접촉저항·아크·트래킹: 플러그 발화의 물리적 원인플러그에서 불이 나는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접촉저항 증가다. 콘센트 내부 스프링의 탄성이 떨어지거나(노후, 반복 사용), 플러그 날(전극)에 산화막·오염이 끼면 맞닿는 면이 느슨해지고, 같은 전류가 좁은 접촉점으로만 흐르면서 국부 과열이 발생한다. 이때 금속 접점이 수백 도까지 치솟으면 플라스틱 하우징이 연화·탄화되고, 주변 먼지·보풀과 만나 발화 조건이 형성된다. 두 번째는 아크(Arc) 방전이다. 고출력 기기를 켜 둔 채 플러그를 천천히 뽑거나 반쯤만 꽂으면, 접점 사이에 전기 불꽃이 튀며 미세 탄화물과 그을음을 만든다. 이 그을음은 전류가 흐르기 쉬운 탄소 경로를 남겨 추가 아크와 추가 열을 부르고, 악순환 끝에 외피가 녹아 화염으로 번진다. 세.. 콘센트 멀티탭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 1. 멀티탭 과부하와 전기 화재 위험성멀티탭은 가정과 사무실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전기 제품이다. 여러 전자기기를 동시에 사용하게 해주는 편리한 도구지만, 부주의하게 사용하면 전기 화재의 주요 원인이 된다. 특히 겨울철 전기히터, 전기장판, 전기포트 등 고출력 기기를 동시에 연결하거나, 여름철 에어컨과 선풍기를 멀티탭에 함께 꽂아 쓰면 과부하가 발생하기 쉽다. 멀티탭 과부하는 정격 허용 전력을 초과할 때 일어나며, 전선 내부에서 과열이 생기고 절연체가 녹으면서 불꽃이 발생할 수 있다. 소방청의 최근 통계에 따르면 전체 전기 화재 중 약 20% 이상이 콘센트 및 멀티탭 과부하로 인한 발열 문제에서 비롯된다. 문제는 멀티탭의 위험성을 과소평가하는 사용자 태도다. ‘조금 불편하더라도 그냥 꽂으면 된다’.. 겨울철 전기장판·히터 화재 예방 가이드 1. 겨울철 전기장판과 히터 화재의 주요 원인 겨울철은 다른 계절에 비해 전력 사용량이 두 배 이상 늘어나는 시기다. 난방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동시에 여러 가전을 가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전기장판과 전기히터는 설치와 사용이 간편해 많은 가정에서 활용되지만, 화재 위험성이 가장 높은 전열기로 꼽힌다. 전기장판은 내부에 발열선이 촘촘하게 배치되어 전기를 열로 바꾸는데, 특정 부위에 압력이 가해지거나 열 배출이 막히면 발열선이 손상되기 쉽다. 손상된 부위에서 절연이 벗겨지면 전류가 누설되고, 작은 불꽃이 발생하면서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전기히터 역시 순간적으로 1,000W 이상 고출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변 환경이 부주의하면 발화 위험이 크다. 특히 히터 주변에 쌓인 먼지가.. 여름철 에어컨 사용 시 전기 과부하 예방법 1. 여름철 에어컨 과부하 발생 원인과 위험성여름철은 전력 소비가 급증하는 시기로, 특히 에어컨 사용량이 많아지면서 전기 과부하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전기 과부하란 가정이나 사무실 내 전기 배선이 감당할 수 있는 전류 용량을 초과하여 전기가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220V 콘센트와 멀티탭은 일정 수준의 전력을 감당하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에어컨과 같은 고출력 가전제품을 동시에 여러 대 연결하면 과부하가 발생하기 쉽다. 과부하는 단순히 차단기가 떨어지는 문제에서 끝나지 않는다. 전선 피복이 녹아내리거나 발열이 심해지면 화재로 이어질 수 있고, 순간적인 전압 변동으로 인해 TV, 컴퓨터, 냉장고 같은 민감한 전자기기가 손상될 위험도 크다. 실제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조사에 따르면 여름철 .. 누전차단기(ELB)의 역할과 주기적 점검 방법 1. 누전차단기(ELB)의 정의와 역할누전차단기(ELB, Earth Leakage Breaker)는 가정과 산업 현장에서 전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보호 장치다. 전기는 편리한 에너지원이지만, 누전이 발생하면 화재나 감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누전이란 전기가 전선이나 기기를 정상 경로가 아닌 다른 곳으로 새어 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벽 내부 전선의 절연이 손상되거나 습기에 의해 전류가 흘러나가면 인체가 전류 통로가 되어 치명적인 감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이때 누전차단기는 흐르는 전류의 불균형을 감지해 즉각 전기를 차단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가정에서 사용되는 누전차단기는 30mA 이상의 누설전류가 감지되면 0.03초 이내에 전원을 차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빠른 차단 속도.. 이전 1 2 3 4 다음